woonkyung_official
갱신하기
5/18 22:18게시물100팔로워4918 (4천)팔로우283
운경재단 Woonkyung Foundation
비영리 단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양성과 사회에 필요한 가치관 설립을 위해 노력합니다.
.
#재단법인운경재단 #장학사업 #비영리공익재단 #사회공헌사업 #운경이재형 #추모사업 #운경고택
연관 프로필 (39)

arteducenter_ys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용산
프로필

booksalon.textbook
북살롱 텍스트북
프로필

ourplaneat
지속가능미식연구소_아워플래닛
프로필

galleryroyal_
갤러리로얄 GALLERY ROYAL
프로필

thewillow1955
더 윌로 | The WilloW
프로필

mmca_education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교육
프로필

heredium.official
HEREDIUM 헤레디움
프로필

newspringproject
New Spring Project
프로필

sma.choimanlinmuseum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프로필

printery_giid
긷
프로필

hanok_episode
열두달에피소드 Korean Culture & Art experience
프로필

gallerybbm
BB&M
프로필

mokinmuseum
목인박물관 목석원
프로필

myallee_livingroom
리빙룸 마이알레 이태원
프로필

bukchon_culture_center
#서울공공한옥 #북촌문화센터 #북촌한옥마을
프로필

moryham_
모리함 • 당신의 이야기가 작품이 되는 곳
프로필

exp_8seasons
윤현상재 유통기한 프로젝트
프로필

hanji.house
한지가헌
프로필

seochon_lounge
서촌라운지
프로필

pyogo.hee
표고 PYOGO
프로필

gobokii_kr
고복희
프로필

ehamcampus
E-HAM CAMPUS|이함캠퍼스
프로필

parkseobo.foundation
PARKSEOBO FOUNDATION
프로필

onjium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
프로필

yongsusan_biwon
용수산 비원점
프로필

ntculture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프로필

arariomuseum
아라리오뮤지엄 ARARIO MUSEUM
프로필

mu.mokjeok
무목적
프로필

sojeonseolim
문학도서관 소전서림
프로필

oawme
온아우미
프로필

lkategallery
엘케이트 갤러리
프로필

k.heritage.craft
국가유산진흥원 K.CRAFT
프로필

ayu.space
아유 스페이스 AYU SPACE
프로필

mi_hak_gwan
미학관 美學館 Philosopher's Stone 🪨
프로필

teatea_chachacha
다함께차차차
프로필

heonsulbang
헌술방⎜성북동 카페 & 바, 바틀샵
프로필

ilminmuseumofart
일민미술관
프로필

meego_craft
미고_크라프트_하우스
프로필

mmca_archive
국립현대미술관 아카이브
프로필
인플루언서의 지수는?
지수 등급 보기
나쁨
평균 광고비
원~원
광고비는 지수에 대한 평균 광고 단가입니다.
포스트 빈도수
최근 포스트 기준
일
포스트 일관성
매우나쁨
포스트 총합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포스트 평균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릴스 총합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릴스 평균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전체
포스트
릴스
- <온고지신> 조선의 별궁이었던 도정궁터에 위치한 운경고택은 운경 이재형 선생이 1953년 조성한 아름다운 정원과 연못을 품고 있습니다. 선생께서 직접 식재한 서부해당화, 영산홍, 라일락, 청매화, 모과, 모란, 작약, 향나무, 소나무, 회양목, 오엽송, 주목 등등의 다양한 수목으로 가득한 운경고택은 도심 속 오아시스라고도 표현됩니다. 운경재단은 소중한 문화자산인 운경고택의 보존을 위해 각별하게 노력하는 한편, 최근 몇 년간의 기후변화와 노화로 손상된 수목을 정비하고 노후되고 누수가 심했던 연못의 리모델링을 포함하는 조경공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건물이 가리도록 무성하게 자란 일부 수목은 이전하고, 고사한 수목의 자리에는 토종수목을 식재하였으며, 한때 비단잉어가 노닐던 깊고 큰 연못은 중정의 크기에 적당하도록 재정비하였습니다. 2주간의 작업을 통해 기품있는 사랑채의 기단은 세월의 힘을 더욱 힘차게 뽐내고, 단아해진 연못과 중정의 향나무는 안채의 우아함을 돋보이게 합니다. 마침맞게 내린 봄비가 고택의 정원을 흠뻑 적셔주듯이, 세월을 품은 이 공간에 한켜, 새로운 시간이 내려앉은 듯 합니다. 온고지신(溫故知新), 차분하게 그 의미를 음미해 봅니다.
100
0
게시물 보기 - <사월풍경> 사계절이 동시에 오고 간 듯 혼란스럽던 사월도 마지막 주를 맞이합니다. 깊고 따뜻해지는 햇살, 꽃이 피고 또 지는 사이로 오감을 뒤흔들던 봄바람도 잦아듭니다. 머물고 싶은 마음으로 오월을 기대해봅니다. 새로운 시절을 준비해봅니다. #머무는마음으로 #또다른풍경을기대하며 #봄날을보내다
105
1
게시물 보기 - <운경소식지 2023-24> 운경소식지 2023-2024가 준비되었습니다. 지난 2년간 운경재단이 진행한 사업에 대한 소식과 성과를 꼼꼼하게 담아보았습니다. 운경소식지는 운경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기부금영수증 안내 2024년에도 운경재단을 후원해주신 후원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드립니다. 운경재단에 보내주신 기부금의 영수증은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를 이용하여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운경재단 후원자께는 소식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습니다.🙏 #운경재단 #운경고택 #운경소식지 #운경재단후원회에함께하세요💕
51
0
게시물 보기 - 중복 제외 실제 조회수입니다.
258
〈공연리뷰: 오래된 소리, 거문고와 피아노〉 과거의 운경과 현재의 이완이 대화를 나누고, 미래를 생각해보는 특별한 경험을 관람객에게 선사하였던 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은 운경재단의 전시 연계프로그램과 함께 하여 더욱 풍성했습니다. 〈오래된 소리, 거문고와 피아노〉는 그 마지막 순서로, 고대적인 언어를 간직하고 있는 동양악기 거문고와, 인류의 발전과 함께 한 악기기술의 집약체이자 서양음악의 대표격인 피아노가 시공간을 초월하여 교감하는 시도였습니다. 피아니스트 박종화 교수와 거문고 연주자 허윤정 교수는 “과거, 현재, 미래는 동시에 공존하며 순환하는 시간성을 갖는다”고 말하며, 역사적, 지리적으로 상반되는 두 악기를 한 자리에서 연주함으로서 동서양의 문화와 음악적인 언어가 주는 함의를 탐구하게 하였습니다. 고즈넉한 늦가을 밤, 운경고택과 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을 배경으로 잔잔하고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과 거문고의 소리가 만들어 낸 큰 울림을 기록하고 기억해봅니다. - 연주곡명 1. Johann Sebastian Bach : Impressions and Paraphrase on Toccata in D bwv 912 2. Arvo Pärt : Fratres (arranged for Geomungo and Piano) 3. Donald Womack : Tyger burning bright - 피아니스트 박종화: 일본 및 유럽을 무대로 활약하며 국제 유수 콩쿠르에서 수상 및 독주회를 가지며 세계적 거장들과 교류하였습니다. 최근에는 클래식 음악과 현대사회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하는 실내악 페스티벌, 설치예술, 전국의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공연 등을 기획하며 무대에 국한하지 않고 음악이 가진 가치를 널리 알리는 작업을 기획하는 동시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거문고 연주자 허윤정: 국가무형문화재 제16호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이수자로 서울시립 국악관현악단 거문고 부수석을 역임하였고, 광주 ACC 월드뮤직 페스티벌 등의 예술감독, 2023년 제 1회 서울예술상 대상 수상, KBS 국악대상 현악상을 수상하며 국내와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수로 후학양성에 애쓰고 계십니다. - 연계프로그램기획: 운경재단 기획: 우혜수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협력: 운경재단 협찬: 탈리다쿰, 야마하뮤직코리아(주) 도움: 음향감독 황순기, 조율사 이민구, 조영화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38
0
게시물 보기 - <제2회 운경재단 한국정치 학술연구 논문공모전 최종발표회> 12월14일(토)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제2회 운경재단 한국정치 학술연구 논문공모전 최종발표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장소: 국립외교원 사회: 강원택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 1. 정치 유튜브와 이용자의 자아일치성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충성도와 적대적미디어지각을 매개로 발표: 김미라 고려대학교, 김혜수 고려대학교 토론: 강신구 아주대학교 교수 2. 학생과 군인과 깡패: 1950~60년대한국의 정치문화 연구> 발표: 박광훈 서울대학교 토론: 이현출 건국대학교 교수 3. 머신러닝을 통한 한국의 정치양극화 영향요인 분석 연구 발표: 조규철 연세대학교, 박예종 연세대학교 토론:이재묵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운경재단은 지난 2023년부터 우수한 연구역량과 잠재력을 지닌 신진연구자를 발굴·지원하는<운경재단 한국정치 학술연구 논문공모전>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본 사업은 대한민국의 정당 및 의회에 관한 통사적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한국정치 분야의 학문후속세대 양성과 한국의 정당정치 및 의회정치에 대한 더 나은 제도적, 역사적 학술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정치 학술연구 지원사업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신 연구진, 심사위원님과 토론자 여러분, 그리고 발표의 장을 마련해주신 한국정치학회와 응원해주신 운경장학회 동문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운경재단의 한국정치 학술연구 지원사업이 해를 거듭하며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운경재단 #운경이재형국회의장 #한국정치학술연구지원사업
41
2
게시물 보기 - <아름다운 기록과 기억: 전시리뷰> 전시가 끝나고 고택은 비워졌지만, 오프라인 매체에 실린 소중한 기록물인 전시 리뷰를 통해 아름다운 지난 여름날들을 기억해봅니다. 이밖에 인스타 스토리를 통해 공유드렸던 SNS상의 ‘다시 읽고 싶은 전시 리뷰’들도 그 따뜻한 감동이 아직도 여운으로 남습니다. 『행복이 가득한 집』 9월호 「주목할 전시: 고택 한 저장된 기억의 조각」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탐구하는 이완 작가, 그는 운경고택을 컴퓨터의 메모리(RAM)과 같은 기억 저장소로 상정해 개인의 기억과 역사의 조각들을 펼쳐 보인다.” 글: 양혜연 사진: 이경욱, 이종근 『월간미술』 10월호 「Curators Voice: 그 새는 어디서 왔을까?」 “운경고택은 정치인으로 일생을 살았던 운경 이재형 선생이 1953년부터 1992년 타계할 때까지 그와 가족의 거처였고, 지금은 운경재단이 운경 선생과 관련된 기록들, 한국 근대사의 한 장이 될만한 자료들을 보존하고 있는 보고다. 이곳은 전시 공간의 역할을 넘어 전시의 콘텐츠가 될 수 있기를 바랐고, 그것이 이완 작가와 함께 하게 된 이유이다. 2017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 선보였던 〈미스터 K와 한국사 수집〉은 ‘미스터 K’가 남긴 기록들로 이루어진 작품으로, 〈메이드 인〉 시리즈와 함께 이완의 작품세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번 전시의 출발점은 ’미스터 K‘로 분한 운경 선생이 남긴 자료였다.” 글: 우혜수 사진: 이종근 『아트인컬처』 10월호 「FOCUS: 혼종의 아카이브, 이완展 9.3~10.27 운경고택」 “이완은 사회 패러다임의 전환, 특히 기술 발전이 불러온 삶과 역사의 변화에 관심을 두었고 이는 〈미스터K〉를 지나 개인전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귀결된다. 전시는 고택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의 정치, 사회, 역사를 아카이브로 엮었다. 다큐멘터리와 거리를 두고자 과거의 그림자를 대체할 기술, 과학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불러왔다. 시간을 오가는 판타지 여행과도 같은 모습이다.” 글: 진휘연 사진: 이종근 『빌보드 코리아』 11월 창간호 아트북 「빌보드 아티스트-뉴진스」 “아름다운 정원과 고택을 촬영지로 선뜻 내준 운경재단의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배려와 영감의 정점을 선사한 전시회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의 이완 작가님에게도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고 무엇보다도 어렵고 까다로운 디렉션에도 열심히 참여해 준 민지, 하니, 다니엘, 해린, 혜인 다섯 멤버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크리에이트 디렉터 우 리) “1980~90년대 음악을 정말 좋아해요. 그 시절의 음악을 직접 경험하지 못한 게 너무 아쉽지만, 미디어, 음악, 공연, 가수 등 모든 유산이 우리에게 선물처럼 주어졌어요. 이를 통해 당시의 절반을 경험하고 나머지를 제 상상력으로 채울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당시 음악과 강하게 연결되는 듯해요”(뉴진스 하니) 아트북 기획: 우 리 모델: 뉴진스 장소: 운경고택 사진: 엘리나 케키케바(화보), 이종근(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과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homelivingkorea @monthly_art @artinculture @billboard_korea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91
6
게시물 보기 - 중복 제외 실제 조회수입니다.
324
〈전시폐막 안내〉 운경고택에서 진행된 세번째 기획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이 종료되었습니다. 이완 작가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은 운경고택을 한국 근대사의 기록 저장소로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상정하고, 운경재단과 작가가 수집한 수백 점의 기록물을 활용한 조각, 설치, 사운드스케이프, 그리고 AI 까지 다양한 매체의 작품 총 26점을 선보였습니다. 자본주의 시스템 관점에서 인간, 예술가, 노동의 관계에 천착했던 작가 이완의 시리즈 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최종편인 이번 전시는 과거의 객관적 기록과 그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기억을 축으로 오늘날 기술발전상이 가져온 삶과 예술의 변화에 대한 탐구를 내용으로 하였습니다. 작가는 이제 기술과 예술, 나아가 인간의 관계를 재정의해야 할 때임을 암시하며, 전시를 통해 무한한 정보 보존의 기술이 인간의 삶에 가져온 변화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예술적 계기를 제공하였습니다. 무더운 여름 어느 날 작품으로 가득한 채 대문을 활작 열었던 운경고택은 늦가을 본래의 고즈넉함을 찾고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휘발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처럼 고택은 비워지지만, 전시의 장면은 기록으로, 또 많은 분들에게 좋은 기억으로 남을 것입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누어주신 응원과 조언의 말씀 깊이 새기겠습니다. 기획: 우혜수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협력: 운경재단 협찬: 탈리다쿰, 야마하뮤직코리아(주) 협업: 김영선, 박종화, 신희권, 이재윤, 허윤정 도움: 이케아코리아, 트리벳마켓, 브루어리304, 정지원 진행: 유현진 디자인: 구희선 번역: 김현경, 임지윤 사진: 이종근 영상: 그루비주얼 도록 - 발행인: 우혜수 - 기획: 정성갑 - 취재: 장남미, 주리아 - 디자인: 구희선 - 글: 우혜수, 정성갑, 주리아, 이규 - 사진: 이종근 작품 제작 협력 - Artwork: 손하람, 소범수, 최형준, 전하진, 전기수, 김한솔, 정주희, 곽명선 - 출연: 양근배(안내 영상), 공선정(시사토크 좋은 질문)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52
3
게시물 보기 - 〈강연리뷰: 백 년 만에 되찾은 기억, 광화문 월대〉 도시에 남아있는 과거의 흔적은 곧 땅의 역사이고, 이는 곧 현재에 이르는 삶의 양식을 해석하는 밑바탕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신희권 교수와 함께 한 강연 ‘100년 만에 되찾은 기억, 광화문 월대’는 고고학자가 보는 기록과 기억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었습니다. ‘활자화된 기록물은 많지만, 저는 기록되지 않은 기록을 찾는 일을 하는 고고학자입니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 일기.. 등등 매우 객관적인 사료라고 인용되는 기록일지라도, 쓰여진 기록은 그 기록물을 쓰는 사람의 인식, 즉 주변상황이나 개인적 판단 등 주관성이 개입될 수 밖에 없습니다. 반면 땅에 묻혀있는 유물은 실물 그 자체입니다. 발굴된 유물은 객관적인 역사의 기록물인 동시에 문자화된 기록물이 다 표현하지 못하는 너무나도 풍성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강연은 조선의 삼군부가 위치하던 육조거리에서, 일제강점기 조선통독부 청사로 향하는 전차길로, 이후 월드컵 응원, 촛불집회를 비롯하여 역사의 중요한 현장이 되어온 광화문 광장의 변천사를 통해 광화문의 장소성을 언급하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소통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곳 광화문 광장의 장소성은 바로 조선왕조가 국민의 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했던 광화문 월대가 그 근원이 아니었을까 강연자는 이야기합니다. 그 복원 과정에서 드러난 일제강점기의 전차길, 그 아래 보이던 광화문의 시대별 흔적 같은 중요한 유물이자 역사적 증거들은 결국 월대의 존재의미를 찾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한편 기적처럼 찾게 된 광화문 월대 난간석(동구릉 보관)과 광화문 월대 어도 서수상(호암미술관 소장), 그리고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의 경복궁 사진과 일본 와세다대학이 소장하고 있는 경복궁 중건 기록지 ‘경복궁영건일기’로 밝혀진 광화문 현판에 얽힌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 등은 흥미롭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기록과 보존의 중요성을 상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운경고택을 포함하는 문화유산들은 어떻게 관리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많지만, 원래의 가치를 알리고 그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지금의 시대와 접점을 늘리는 방향으로 잘 활용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신희권 교수는 1997년부터 10년 넘게 풍납토성을 직접 발굴하여 백제의 첫 도읍이었던 위례성의 위치를 밝히는데 큰 역할을 하였고, 국보1호 숭례문,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발굴의 책임자로 2023년 광화문 월대 복원프로젝트를 직접 지휘하였다. 서울시 국가유산위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전문위원,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활동 중이며, 주요 논저로는 『한양도성, 서울을 흐르다』(2022 개정판), 『목간으로 백제를 읽다』(공저, 2020), 『창덕궁, 왕의 마음을 훔치다』(2019), 『문화유산학 개론』(2018) 등이 있다.> - 연계프로그램기획: 운경재단 기획: 우혜수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협력: 운경재단 협찬: 탈리다쿰, 야마하뮤직코리아(주)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133
0
게시물 보기 - 〈전시 연계 프로그램 안내〉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의 두 가지 전시 연계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강연과 퍼포먼스라는 다채로운 형식을 통해 기록과 기억을 활성화하는 확장된 경험을 선사합니다. 〈강연 시리즈 2: 백 년 만에 되찾은 기억, 광화문 월대〉 광화문 월대 발굴조사에 참여하고 최근 복원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사업을 주도했던 신희권 고고학자를 초대하여 역사적 건축물의 복원 과정을 추적하고 그 역사성과 가치를 살핍니다. 일시: 10월 17일(목) 오전 11시 장소: 종로구 인왕산로 7 운경기념관 3층 연사: 신희권(고고학자) * 강연 별도 혹은 전시 관람과 연계하여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예약은 네이버예약 ’운경고택‘을 통해 가능합니다. 〈퍼포먼스: 오래된 소리, 거문고와 피아노〉 박종화 피아니스트, 허윤정 거문고 연주자가 함께하는 동서양 오래된 현악기의 협연으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초월적 시간을 음악으로 재구성합니다. 일시: 10월 24일(목) 오후 5시 장소: 종로구 인왕산로 7 운경고택 퍼포머: 박종화(피아니스트), 허윤정(거문고 연주자) *전시 관람이 포함됩니다. 프로그램 예약은 네이버예약 ’운경고택‘과 ‘널위한 문화예술’을 통해 가능합니다. 협찬: 탈리다쿰, 야마하뮤직코리아(주) 도움: 널위한 문화예술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58
0
게시물 보기 - 〈널 위한 문화예술과의 협업기획〉 운경고택에서 진행 중인 전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이 문화예술 미디어스타트업 ’널 위한 문화예술‘과 협업 관람을 기획하였습니다. 더 많은 분들께 관람의 기회를 드리기 위한 특별한 기획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기획1: 〈야간개장〉 10월10일, 15일 양일간 총 4회, 프라이빗 도슨트 포함 관람 패키지 ▪️기획2: 〈퍼포먼스: 오래된 소리, 거문고와 피아노〉 공연 퍼포먼스 및 전시 관람 패키지 한정된 수량으로 제공되는 특별한 기회 놓치지 마세요! 협업관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널위한문화예술 @cultureart4u 에서 확인하세요 〈한옥에서 펼쳐지는 역대급 현대미술 전시〉 @cultureart4u 세계 최대 미술행사 베니스비엔날레 2017 한국관 대표 작가 이완의 전시가 지금 운경고택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직접 수집한 물건들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품 26점을 만날 수 있는데요. 서울 한복판 아름다운 한옥, 운경고택을 배경으로 펼쳐지죠. 사랑채와 안채, 마당 곳곳에 펼쳐진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이번 전시! 회차별 20명만 방문할 수 있는데요. 지금 널위한99티켓에서 야간개장과 작가의 프라이빗 도슨트 혜택이 포함된 패키지 티켓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수량으로 제공되는 만큼, 티켓을 구매하고 싶다면 프로필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랜덤 액세스 메모리3: 기록과 기억》 ✔️ 2024. 09. 03 - 2024. 10. 27 ✔️ 운경고택 (서울 종로구 인왕산로 7) ✔️ 화-일 09:30 - 17:00 (월 휴무 / 10/10, 10/15 야간개장) ✔️ 전시+공연 패키지 39,000 / 야간개장 패키지 15,000 / 일반 패키지 15,000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323
0
게시물 보기 - 〈4차분 예매 오픈 공지〉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의 4차분 전시 관람과 연계 프로그램을 [네이버 예약] 운경고택을 통해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 ◼︎ 예매 오픈: 10월 3일(목) 오전 11시 ◼︎ 대상 기간: 10월 16일~10월 27일 4차 예약분 ◼︎ 예매처 l 네이버 사전예약 (네이버 ‘운경고택’ 검색) ◼︎ 전시 기간 l 2024.9.3.-10.27.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 l 운경고택(서울시 종로구 인왕산로 7) ◼︎ 관람시간 l 9:30 11:00 12:30 14:00 15:30 (회차당 80분 관람, 사전예약제) ◼︎ 관람료 l 15,000원 (탈리다쿰의 기념품 증정) ◼︎ 도슨트 l 매주 금, 토요일 11:00 〈강연 시리즈 2: 백 년 만에 되찾은 기억, 광화문 월대〉 일시: 10월 17일(목) 오전 11시 장소: 종로구 인왕산로 7 운경기념관 3층 연사: 신희권(고고학자) * 강연 별도 혹은 전시 관람과 연계하여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오래된 소리, 거문고와 피아노〉 일시: 10월 24일(목) 오후 5시 장소: 종로구 인왕산로 7 운경고택 퍼포머: 박종화(피아니스트), 허윤정(거문고 연주자) * 전시 관람이 포함됩니다.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 이종근 @leejongkeun1
87
0
게시물 보기 - <후기: 작가와의 대화> 9월 25일 운경기념관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연계 프로그램 ‘강연 시리즈 1: 작가와의 대화’가 열렸습니다. 이번 대화는 작가와 기획자, 그리고 운경고택의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전시를 조망하는 한편, 마트 시리즈, 메이드 인 시리즈를 거쳐 랜덤 액세스 메모리 시리즈에 이르는 작가의 예술관을 깊이있게 통찰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또한 대화에 직접 참여한 협업 작가, 안무가, 도록의 저자가 전시에 얽힌 다채로운 경험을 이야기하고, 질문과 답변 시간을 통해 관람객들 역시 저마다의 주관적이고 내밀한 기록과 기억을 나눔으로서 전시의 의미가 확장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참여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랜덤 액세스 메모리 3: 기록과 기억〉 2024.9.3.-2024.10.27. 운경고택 ’모두가 마트에 가서 비슷한 물건을 사고, 비슷하게 소비하는, 다들 당연하다고 느끼는 그 시스템에 도전하고 개입하여 내가 최종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가 되어보자. 그렇게 마트 시리즈가 만들어졌습니다.‘ ’현실과 과거의 정확하지 않은 기억이 혼재되는, 그 모호한 경계, 저는 이런 부분에 매력을 느낍니다.‘ ’AI에 대체될 직업, 산업의 위기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고민합니다. 더이상 인간이, 인간과 대화를 나누지 않는, 인간을 필요로 하지않는 세상이 오면 어떻하지? 그런 걱정말입니다.‘ ’신뢰하는 사람이 함께 작업을 하자고 청해오면 느껴지는 희열이 있습니다. 이완 작가님과의 협업은 그렇게 기쁜 마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어떤 것의 근원, 근본에 대해 계속하여 생각하게 됩니다. 저의 퍼포먼스도 시간의 결과물인 몸, 몸만으로 표현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전통 공간인 한옥과 모더니티의 상징인 이케아 가구가 사랑채에 함께 하고 있는데, 이 조화와 대조가 보는 이에 따라 다양한 감상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전시가 끝난 후 이케아 가구들의 향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작가와의 대화 중 📸 이종근 @leejongkeun1
84
1
게시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