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_ep
갱신하기
5/16 20:57게시물1023팔로워85710 (8.6만)팔로우0
일상의실천 Everyday Practice
그래픽 디자이너
Seoul based graphic design studio
member of AGI @agigraphic
📧 hello@everyday-practice.com
연관 프로필 (40)

hwfstudio
하우풀스튜디오 HOWFULSTUDIO
프로필

woong_studio
웅
프로필

plusx_creative
Plus X
프로필

studiopullpool
PULL POOL
프로필

designschool.kr
디학
프로필

pa_i_ka
파이카 paika
프로필

maumstudio
maumstudio
프로필

leedotype
이도타입
프로필

le_m.design
leM
프로필

anothergraphicdotorg
Another Graphic
프로필

moonaanhaan
무난한
프로필

studio_frontdoor
프론트도어 front-door
프로필

seongeun.works
Seongeun Kim
프로필

100space
백색공간
프로필

alolot.kr
스튜디오 어랏 ALOT
프로필

pranky26
Jaehoon Choi
프로필

aurgdesign
AURG
프로필

6699press
6699press
프로필

mmcafoundation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재단
프로필

yoonmingoo.tf
윤민구 타입 파운드리 YMG Type Foundry
프로필

mhtl.official
MHTL
프로필

cloud.cb
野雲
프로필

smileflower.club
웃음꽃
프로필

prettyoddtype
팟 POT
프로필

corpus.kr
CORPUS
프로필

oddhyphen
STUDIO ODD HYPHEN
프로필

boinda.co
보인다디자인
프로필

ahngraphics
안그라픽스
프로필

formlesstwins
formless twins
프로필

generalgraphics_official
generalgraphics
프로필

kimyoungsun.kr
김영선 kim Youngsun
프로필

bbareunson
스튜디오 빠른손 Studio Bbareunson
프로필

raykstudio
rayk studio
프로필

hithere.cfc
CFC
프로필

typosters
Typographic Poster Design Inspiration
프로필

__pangpangpang
팡팡팡그래픽실험실
프로필

swim_seoul
swim
프로필

the_reference_seoul
더레퍼런스 The Reference
프로필

themovingposters
The moving poster
프로필

manual_graphics
매뉴얼
프로필
인플루언서의 지수는?
지수 등급 보기
일반
평균 광고비
원~원
광고비는 지수에 대한 평균 광고 단가입니다.
감점 요소 발견
팔로워에 비해 참여율이 아쉬워요
포스트 빈도수
최근 포스트 기준
일
포스트 일관성
좋음
포스트 총합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포스트 평균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릴스 총합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릴스 평균 데이터
최근 포스트 기준
전체
포스트
릴스
- 문화역서울284 10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서울백화점》 일상의실천은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특별기획전 《서울백화점》의 그래픽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서울백화점》은 각 지역에서 탄생한 로컬 브랜드와 그 배경이 된 문화를 관람객이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전시입니다. 100여 개에 이르는 브랜드를 각 지역의 고유한 모티프를 반영한 그래픽 요소로 구성하였으며, 작은 그래픽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흐름과 구조를 이루는 방식으로 전시의 성격을 시각화하고자 했습니다. 서울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상징하는 문화역서울284의 파사드를 주요 그래픽 모티프로 삼아, 브랜드와 공간, 과거와 현재가 시각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디자인했습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박세희 국문 타이틀 디자인. 김태룡 모션 그래픽. 정수이 사진. 임민재 클라이언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역서울284 Culture Station Seoul 284 100th Anniversary Special Exhibition: <Local to Seoul 100 Diaries> Everyday Practice was responsible for the graphic design of Local to Seoul 100 Diaries, a special exhibition held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to mark its 100th anniversary. The exhibition was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engage with local brands and the cultural contexts from which they emerged through various immersive experiences. Over 100 brands were interpreted through graphic elements that reflect the unique motifs of their respective regions. These individual visual fragments were arranged to form a cohesive flow and structure, embodying the narrative of the exhibition. The façade of Culture Station Seoul 284 — a symbol of Seoul’s historical and spatial identity — served as a key graphic motif, visually linking the brands with the exhibition site, and connecting past and present in a unified visual language.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Sehee Park Korean title design. Taeryong Kim Motion graphics. Sui Jeong Photography. Minjae Lim Client.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Culturestationseoul284 #kcdf_insta #culturestationseoul284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culturestationseoul284 #LocaltoSeoul100Diaries #graphicdesign #identitydesign #100주년
1717 (1천)
15
게시물 보기 - 불닭 브랜드 웹사이트 불닭은 삼양식품의 글로벌 대표 브랜드로, 강렬한 매운맛을 중심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과 매운맛 문화를 공유해왔습니다. 일상의실천은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하나의 브랜드 경험으로 확장된 불닭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브랜드 슬로건과 핵심 메시지를 기획하고 공식 웹사이트(buldak.com)의 디자인 및 개발을 총괄했습니다. ‘Spicy or Nothing’은 불닭의 글로벌 슬로건으로, 매운맛에 대한 자신감과 도전적인 브랜드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브랜드 캐릭터 ‘Hochi’의 등장을 시작으로, 다양한 그래픽 요소가 확장되어 만다라 패턴으로 전개되는 키 비주얼 애니메이션은 불닭의 강렬하고 개성 있는 세계관을 시각적으로 드러냅니다. 또한 주요 섹션에 적용된 인터랙션 요소들은 사용자가 불닭 브랜드의 에너지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웹사이트는 불닭의 고유한 비주얼 언어를 디지털 환경에 맞춰 재해석했으며, 다양한 제품과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정보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다국어 대응 및 반응형 구조를 통해 글로벌 사용성을 강화하였습니다. https://buldak.com/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김경철 디자인. 권준호, 김경철 개발. 김경철, 양나원 키비주얼 모션그래픽. 입자필드 키비주얼 인터렉션 개발. 양나원, 유환준 CI/CD. 김혜인, 양나원 브랜드 슬로건 모션그래픽. 정수이 브랜드 및 웹사이트 기획. 고연정 도움. 신지웅, 장은아 씨즐 이미지. 차리다 클라이언트. 불닭 @buldak_global Buldak Brand Website Buldak is Samyang Foods’ global brand, known for its bold spicines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the brand slogan, messaging, and led the design and build of buldak.com. “Spicy or Nothing” reflects the brand’s fiery attitude. The character Hochi introduces a mandala-style animation that captures Buldak’s visual energy. Interactive features let users experience the brand directly. The site reinterprets Buldak’s identity for digital, with intuitive navigation, multilingual support, and responsive design for global reach.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Kyungchul Kim Design. Joonho Kwon, Kyungchul Kim Development. Kyungchul Kim, Nawon Yang CI/CD. Hyein Kim, Nawon Yang Key Visual Motion Graphic. Particlefield Key Visual Interaction Development. Nawon Yang, Hwanjun Yu Brand Slogan Motion Graphic. Sui Jeong Brand and Website Planning. Yeonjeong Koh Support. Jiwoong Shinn, Euna Jang Sizzle. Charida Client. BULDAK
870
15
게시물 보기 - 세종시즌 25 프로그램 시즌북 2025년 세종문화회관 ‘세종시즌 25’를 맞아, 키비주얼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시즌북을 디자인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단순한 공연 소개를 넘어, 세종문화회관의 공간과 정서를 담아낸 브로슈어를 디자인했습니다. 표지는 무대 뒤, 벽면, 로비, 객석 등 세종문화회관 곳곳을 탐색하며 직접 스캔한 질감 이미지를 활용해 구성했습니다. 세 가지 버전으로 제작된 표지는 각각 다른 재질과 색감을 적용해 공연과 공간의 다양성을 표현했으며, 스캔 이미지를 시즌 타이틀 ‘S25’와 결합해 아이덴티티를 유지했습니다. 또한, 겉표지의 날개를 펼쳐 책자와 분리하면 스캔된 질감 이미지를 더욱 크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여, 관객이 세종문화회관의 물성과 장소성을 보다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안지효 텍스처 리서치 & 아카이빙. 권준호, 안지효 사진. 김진솔 @jskstudio_official 클라이언트. 세종문화회관 @sejongcenter Sejong Season 25 Program Book For the 2025 edition of “Sejong Season”,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program book based on the season’s key visual identity. Rather than simply introducing performances, the brochure captures the atmosphere and character of the Sejong Center itself. The cover features texture images scanned from various parts of the Sejong Center, including backstage, walls, lobbies, and audience seating areas. Produced in three different versions, each cover highlights a distinct material and color, while maintaining the ident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25“ title with the textures. Additionally, the front flap unfolds and detaches to reveal the scanned images in a larger format, allowing readers to more vividly experience the materiality and spatial qualities of the Sejong Center.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ihyo Ahn Texture Research & Archiving. Joonho Kwon, ihyo Ahn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Client. Sejong Center @sejongcenter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sejongseason #sejongseason25 #sejongcenter #graphicdesign #identitydesign #bookdesign #coverdesign #editorialdesign
456
1
게시물 보기 - 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올리브영의 브랜드 철학을 담은 2025 OLIVEYOUNG 브로슈어 키트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가치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패키지형 인쇄물입니다. 올리브영이 추구하는 지속 가능성, 혁신성, 글로벌 확장성을 압축적으로 담아낸 본 키트는 단순한 책자를 넘어서 올리브영의 태도와 철학이 담긴 오브제로 설계되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이 프로젝트에서 올리브영의 코어 벨류를 명료한 구조와 컬러, 물성을 통해 드러내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각 구성품이 물리적 구조로 결합되고 상호작용하여, 브로슈어를 단순히 ‘읽히는 대상’이 아닌 ‘작동하는 오브제’로 재해석하였으며, 브랜드의 전략을 시각적으로 저장하고 아카이브하는 키트로써 국내외 주요 파트너 및 투자자 대상의 대표 인쇄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또한, 일러스트레이터와의 협업을 통해 도큐먼트 형식의 전형적인 브로슈어의 프레임을 탈피하고 보다 친근하고 트렌디한 브로슈어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임민재 일러스트레이션. 오요우 @oyowwo 편집. 고연정 @tetevision 사진. 김진솔 @jskstudio_official 제작. 퍼스트경일 클라이언트. 올리브영 @oliveyoung_official 2025 OLIVEYOUNG Project The 2025 OLIVEYOUNG Brochure Kit is a packaged printed product that visually embodies the brand’s values. The kit is designed to be more than just a brochure, but an object that reflects the brand’s philosophy and values of sustainability, innovation, and global expansion. For this project, Everyday Practice focused on revealing Olive Young’s core values through clear structure, color, and texture. By combining and interacting with each component as a physical structure, we redefined the brochure as a ‘’performing object’’ rather than just an ‘’object to be read,’’ and designed it as a kit that visually stores and archives the brand’s strategy and serves as a representative publication for key partners and investors at domestic and global markets. In addi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illustrator, broke away from the typical brochure format of a document and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a more approachable and trendy brochure. Project Director: Junho Kwon Design: Minjae Lim Illustration: Oyow @oyowwo Editing: Yeonjung Koh Photography: JSK studio Production. First Kyungil Client: OLIVEYOUNG #일상의실천 #graphicdesign #bookdesign #design #oliveyoung #editorialdesign #illustration #artbook
1560 (1천)
4
게시물 보기 - 모든 조건이 조화로울 때 전시 《모든 조건이 조화로울 때》는 서로 다른 조형 언어를 탐구해 온 박기원, 박소희 두 작가의 작업이 공간 안에서 나란히 놓이며 만들어지는 긴장과 균형의 상태를 다룹니다. 구조적이고 논리적인 구축과 감각적이고 유기적인 흐름이 만나는 접면 위에서, 서로 다른 시각적 조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를 탐색합니다. 디자인은 전시의 양면성을 포스터 양면 구성으로 시각화했습니다. 박기원의 작업에서는 방사형 그라디언트를 중심으로 한 규칙적 구조와 타이포그래피의 밀도를 조율했고, 박소희의 작업은 디지털 드로잉을 활용한 다층적 색채의 흐름을 강조했습니다. 두 면을 상하 반전된 구성으로 배치해 제목의 번역 관계를 시각화하고, 관람자가 포스터를 회전해 읽는 과정 자체가 두 작가의 상이한 조형 언어 사이를 이동하는 경험이 되도록 의도했습니다. https://projectspaceline.com/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김경철 그래픽디자인. 권준호 타이틀 레터링. 김태룡 웹디자인 및 개발. 유환준 도움. 박세희 클라이언트. 라인문화재단 사진. 코코아 픽쳐스 When All Scenes Are in Harmony The exhibition When All Scenes Are in Harmony presents the works of Kiwon Park and Sohee Park, two artists who have explored distinct visual languages. Placed side by side in the same space, their works create a dynamic tension and equilibrium. The exhibition explores how contrasting visual conditions—structural and logical construction on one side, and sensuous and organic flow on the other—can coexist and harmonize. The exhibition’s duality is expressed through the two-sided design of the poster. Kiwon Park’s side features a radial gradient and carefully balanced typographic density to reflect structural logic, while Sohee Park’s side emphasizes layered chromatic movement through digital drawing. The two sides are arranged in an upside-down composition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titles. Viewers rotate the poster as they engage with it, mirroring the experience of shifting between the artists’ differing visual approaches. https://projectspaceline.com/ Project Directors: Joonho Kwon, Kyungchul Kim Graphic Design: Joonho Kwon Title design. Taeryong Kim Web Design & Development: Hwanjun Yu Assistant. Sehee Park Client: Line Cultural Foundation Photography: Cocoa Pictures #graphicdesign #posterdesign #webdesign #일상의실천
615
2
게시물 보기 -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은 그래픽 디자이너 63팀이 함께한 시국 선언문 포스터 프로젝트의 과정을 기록한 책입니다. 《시대 정신》은 한 시대의 엄혹한 현실을 통과하며 동료 디자이너들의 목소리를 모은 집합적 출판물이자 시각적 선언입니다. 포스터 이미지뿐 아니라 디자이너들의 발언, 선언문, 비평적 시선이 함께 실려 있어 프로젝트의 맥락을 보다 입체적으로 전달합니다. 이 책은 한국 현대사의 변곡점마다 등장했던 시민들의 시국 선언문을, 2025년 12.3 비상계엄 사태를 통과하는 지금 이 시점에 다시 소환합니다. 《시대 정신》은 이를 통해 오늘날 디자이너의 책임과 역할은 무엇인지 묻고자 합니다. 책의 전면과 후면에는 참여 디자이너들의 이름이 흰색 형압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타이포그래피와 책의 물성을 통해 ‘익명의 연대’와 ‘보이지 않는 목소리’에 대한 시각적 해석을 시도하였습니다. 무채색의 조형성과 비물질적인 촉감은 선언이라는 행위가 지닌 긴장감과 절제된 감정을 담아내고자 하였습니다. * 《시대 정신》 프로젝트 도록의 구입 링크는 프로필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획. 일상의실천 디자인. 권준호 글. 권준호, 김어진, 김경철, 문주화, 박수지, 봉성창, 안병학, 양다솔, 최명환 편집. 권준호, 윤상훈 교정. 소효령 출판. 안그라픽스 사진. 김진솔 Zeitgeist Project Publication Zeitgeist is a collective design publication that documents a poster project involving 63 graphic design teams. Created in response to a turbulent moment in Korea’s contemporary history, the publication brings together designers’ visual works, personal statements, civic declarations, and critical texts to present a multilayered perspective on the project. By revisiting the tradition of civic manifestos that have emerged at key mom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Zeitgeist responds to the emergency martial law declared on December 3, 2025, and poses an urgent question: What i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designers today? The names of all participating designers are blind embossed in white on the front and back covers. Through restrained typography and tactile production, the design reflects themes of anonymous solidarity and unseen voices, echoing the quiet tension carried by the act of collective declaration. Concept & Planning: Everyday Practice Design: Joonho Kwon Texts: Joonho Kwon, Eojin Kim, kyungchul Kim, Juhwa Moon, Suji Park, Seongchang Bong, Byunghak Ahn, Dasol Yang, Myunghwan Choi Editing: Joonho Kwon, Sanghoon Yoon Proofreading: Hyoryung Soh Publisher: Ahn Graphics Photography: JSK studio #시국선언포스터 #시대정신프로젝트 #일상의실천
754
5
게시물 보기 - 세종시즌 25 키비주얼 디자인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공연 브랜드 ‘세종시즌’은 매해 다양한 공연 예술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상의실천은 2025년을 맞아 기획된 ‘세종시즌 25’의 키비주얼을 디자인하며, 세종문화회관 고유의 정체성과 공연 예술의 현장성을 담아낸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세종문화회관이라는 물리적 장소에 주목하여,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를 너머 공연이 준비되고 만들어지는 무대 뒤, 객석, 로비, 복도, 벽면, 바닥 등의 물성과 구조, 질감을 시각적으로 포착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현장을 탐색하며 다양한 장소의 질감을 스캔하고, 세종문화회관의 공간이 지닌 시간성과 경험 요소를 시각화했습니다. 공간의 정서를 담아낸 스캔 이미지는, 이번 시즌의 타이틀 ‘S25’를 형상화한 입체 조형에 마스킹 됩니다. ‘S25’는 블럭 구조의 입체 조형으로 시각화했으며, 각 면에는 서로 다른 시점과 질감을 가진 이미지들이 적용돼 다양한 조형적 변주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이 입체 블럭은 하나의 형태에 머무르지 않고 ‘S’, ‘2’, ‘5’ 각 글자의 조형으로 재구성해, 시리즈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담아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안지효 텍스처 리서치 & 아카이빙. 권준호, 안지효 국문 타이틀 디자인. 김태룡, 박세희 모션 그래픽 & 3d. 유환준 사운드. 신지웅 사진. 김진솔 @jskstudio_official Sejong Season 25 Key Visual Design ‘Sejong Season’ is the Sejong Center’s annual performance brand, engaging audiences through diverse performing arts. For the 2025 edition, Everyday Practice developed key visuals that capture the center’s unique identity and the immediacy of live performance. This project focused on the physical space of the Sejong Center—not just the stage, but the entire environment where performances are prepared and brought to life: backstage, audience seating, lobbies, corridors, walls, and floors. We conducted on-site explorations, scanning various surfaces to visualize the materiality, structure, and texture of the space, capturing its temporal and experiential qualities. These scanned images, reflecting the atmosphere of spaces where performances take shape, were integrated into a modular, three-dimensional sculptural form representing the season’s title, “S25.”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ihyo Ahn Texture Research & Archiving. Joonho Kwon, Jihyo Ahn Korean title design. Taeryong Kim, Sehee Park Motion graphics & 3d. Hwanjun Yu Sound. Jiwoong Shin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sejongseason #sejongseason25 #sejongcenter #graphicdesign #identitydesign
488
2
게시물 보기 - 후마니타스의 이론서 『오늘도 무사히』의 책표지를 디자인했습니다. 노동이 죽음이나 부상, 고통을 전제로 하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이 책은 ‘안전하게 일할 권리’가 모든 이에게 보장되어야 할 보편적 권리임을 말합니다. 산업재해는 특정한 작업복을 입은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며,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산업 곳곳에 잠재한 현실이라는 점을 상기시킵니다. 멈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노동자들의 힘과 의지를 타이포그래피로 시각화했습니다. 크기와 질감이 각기 다른 입자들은 다양한 산업군을 상징하며, 그 다층적인 노동의 풍경을 담아냅니다. 안전한 치유와 회복의 의미를 반영하여, 차분하고 깨끗한 톤의 색상으로 희망적인 미래를 그려내었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박세희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후마니타스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cover for 『Safe and sound』, a theoretical series published by Humanitas. The book confronts a harsh reality—where death, injury, and pain are too often accepted as part of labor—and instead asserts that the right to work safely, without harm, is a fundamental and universal human right. It reminds us that workplace accid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in hard hats and safety vests, but are a risk embedded across all industries and professions. To capture the strength and forward momentum of workers, we translated their collective will into typography. Particles of varying textures and sizes symbolize the wide range of labor sectors, conveying the complexity and multiplicity of modern work. A calm, clean color palette was chosen to evoke the themes of healing and recovery, pointing toward a hopeful future where safety and dignity in labor are not exceptional, but expected.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Sehee Park Photography. JSK studio Client. 후마니타스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표지디자인 #후마니타스 #오늘도무사히 #bookdesign #coverdesign #graphicdesign #editorialdesign
1282 (1천)
5
게시물 보기 -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하우시스의 트렌드북은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LX하우시스는 시대의 이면을 분석하고, 우리의 삶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LX하우시스가 제안하는 2025트렌드 제안을 엮은 책입니다. LX하우시스의 2025년 트렌드북 메인스트림 SY{E}NERGY는 SYNERGY(시너지, 동반 상승효과)와 ENERGY(에너지, 기운)의 합성어로, “함께할 때 피어나는 새로운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일상의실천은 ‘확산되는 에너지’를 추상적인 형태의 그래픽으로 표현해 SY{E}NERGY의 피어나는 이미지로 시각화했고, 이를 이성적인 소재(메탈릭 별색)와 결합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내지에 다양한 삽지(트레싱지, 실제 벽지샘플)를 사용하여 트렌드북의 사용성을 강조하는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김어진 디자인. 양현호 사진. 김진솔 LX Hausys 2025 Trendbook LX Hausys’ Trendbook is a book that analyzes the trends behind the times and proposes LX Hausys‘ 2025 tren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ur lives should take in the face of organically changing times. SY{E}NERGY, the mainstream of LX Hausys’ 2025 Trend Book, is a combined word of SYNERGY(synergy, synergistic effect) and ENERGY(energy, aura), symbolizing “new energy that blooms when we are together.” Everyday Practice visualized the ‘spreading energy’ as an abstract graphic representation of the blooming image of SY{E}NERGY, and combined it with rational materials(metallic spot colors), and used various illustrative materials(tracing paper, actual wallpaper samples) inside to emphasize the usability of the trend book. Project Director. Eojin Kim Design. Hyunho Yang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일상의실천 #graphicdesign #bookdesign #Lxhausys #trendbook #everydaypractice
2803 (2천)
11
게시물 보기 - 《시대 정신》 프로젝트 디자이너의 시국선언문 포스터 프로젝트 《시대 정신》이 2024년 12월 12일 시작으로, 2025년 3월 16일 오프라인 전시 철수와 함께 마무리 되었고,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관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었습니다. 전시 시간 동안 총 169명의 시민들이 2,921,379원을 《시대 정신》 프로젝트에 후원해 주셨습니다. 이 금액은 전액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의 활동에 기부했습니다. *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전국 1,719개 노동시민사회단체가 모여서 활동하는 연대체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시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 민주주의의 회복을 기원하며, 다시는 시대의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하겠습니다. 《시대 정신》 프로젝트를 통해 전달한 우리의 목소리는 또 다른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긴 시간 동안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시대 정신》 시대 정신 웹사이트 https://manifesto.ing 강인구 @kigtype / 강혜린 @___9ang / 권민호 @minho_kwon / 권준호 @joonhosays / 김경선 @readingseoul / 김경철 @saychul / 김어진 @real_3208.indd / 김영나 @nananananananakim / 김은지 @ant.graphics / 김의래 @euirae / 김재영 @kimjaeyoung.kr / 김태룡 @taeryong.kim / 노도균 @dono_works / 로호타입 @rojotype / 리프트오프 @studio.lift_off / 모임 별 @byul.org_seoul / 문장현 @moonjanghyun / 민구홍 매뉴팩처링 @minguhongmfg / 민동인 @minfahn / 박금준 / 박민지 @minjimemo / 박세희 @1se.hee / 박유선 @parkyuseon_ / 박지은 @page.no.official / 박채희 @chae.hee.park / 석창희 @tjr3164 / 선데이 @5unday.seoul / 스튜디오 힉 @studiohik / 스팍스에디션 @sparksedition / 시멘트 @cement.seoul / 신명섭 @shind.soul / 신지웅 @shinnjiwoong / 심우진 @simwujin / 안마노 @an__mano / 안병학 @ahn.byunghak / 안지효 @aan.jyo / 양나원 @yangnawon / 양현호 @hyunhoyang / 오이뮤 @oimu_ / 오진경 / 용세라 @serayong / 유환준 @hwan_jun_y / 윤충근 @cgyoon / 윤현학 @tedhyoon / 이도의 @doeui.lee / 이용제 @eyongje / 이철민 @moltingshot / 이푸로니 @pooroni / 인더그래픽스 @inthe.graphics / 임민재 @limminjae.kr / 입자필드 @particle.field / 장기성 @triangle_studio / 전채리 @charryjeon / 정재완 @jjwan / 정호숙 @hosugi_93 / 조아영 @flux_of_a0 / 진달래&박우혁 @jinandpark / 채병록 @chae_byungrok / 채수진 @chae_ssss / 최경주 @artistproof_studio / 최고야 @manmansei / 크리스로 @chris_____ro / 프론트도어 @studio_frontdoor / 함지은 @jieunhahm / 허민재 @minjaehuh / 황현범 @hwanghyunbeom 기획, 웹사이트, 그래픽디자인. 일상의실천 @hello_ep 시국선언문 아카이브. 봉성창, 전다현 후원.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ag.typography.institute SAA @screenartagency 두성종이 @doosungpaper 리얼레이션 스페이스 @realation.space 새로움아이 @saeroumi.design 안그라픽스 @ahngraphics 에르코라이팅코리아 @erco_asiapacific 퍼스트경일 @first_kyungil 펠소닉 @pelsonic #시국선언포스터 #시대정신프로젝트 #일상의실천
1648 (1천)
11
게시물 보기 -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공연 브랜드 ‘세종시즌’은 매해 다양한 공연 예술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공연 브랜드 ‘세종시즌 25’를 위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했습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기획 및 공동주최하는 다양한 작품들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하기 위해 통일된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적용해 시즌을 하나의 흐름으로 조화시키고, 개별 공연의 정체성과 메인 비주얼을 강조하는 프레임을 구성했습니다. ‘S25’라는 시즌 넘버를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주요 요소로 사용하고, 영문 타이틀 ‘Sejong Season’의 타이포그래피를 해체하고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담았습니다. 동일한 간격으로 두 줄 배치한 ‘Sejong’과 ‘Season’에서 중복되는 ‘S’를 하나로 표기해 시각적으로 강조하고 시즌 넘버인 ’25’을 동일한 크기로 배치해 축약형 심볼의 인상을 연출했습니다. 국문 타이틀 ‘세종시즌’은 원의 조형적 특성을 가진 로고타입을 개발하여 악보의 리듬과 천지인을 본떠 만들어진 중세 한국어의 인상을 가시화하고 있습니다. 타이틀은 로고타입의 선 길이, 여백을 필요에 따라 확장하여 유연하게 활용합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안지효 국문 타이틀 디자인. 김태룡, 박세희 모션 그래픽. 유환준 사운드. 신지웅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Sejong Season,’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flagship performance brand, is an annual program that engages audiences through a wide range of performing art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a new identity system for ‘Sejong Season 25’, aiming to enhance the brand’s distinctiveness and cohesiveness. To integrate the various productions planned and co-hosted by the Sejong Center under a single brand identity, we applied a consistent typography system to create a cohesive seasonal flow, and established a framing system that highlights each performance’s identity and key visuals. The season number ‘S25’ serves as a core element reinforcing the brand identity, while the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of the English title ‘Sejong Season’ express visual flexibility and scalability. The overlapping ‘S’ in the two-line structure of ‘Sejong’ and ‘Season’ is expressed as a single letter to create visual emphasis, with the season number ‘25’ placed at the same scale to form a symbolic, compact mark. For the Korean title ‘Sejong Season’, we developed a circular logotype inspired by musical rhythm and the visual language of medieval Korean script, drawing from the ‘Cheon Ji In’ principle in Hangul typography.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ihyo Ahn Korean title design. Taeryong Kim, Sehee Park Motion graphics. Hwanjun Yu Sound. Jiwoong Shin #graphicdesign #identitydesign #sejongcenter #sejongseason
512
3
게시물 보기 - “’인권을 정치화하지 말라!‘ 인권에 대한 무수히 많은 말들 가운데 나는 저 말을 가장 싫어한다.” 후마니타스에서 발행되는 이론서 시리즈 『불온한 인권』의 책표지를 디자인했습니다. 수작업을 통해 인권이 역사적 갈등과 투쟁을 거치며 재구성되고 재형성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인권의 불온함을 표현하기 위해 날카롭고 위협적인 오브제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엮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정치성, 갈등, 대립을 상징하는 뾰족하고 날카로운 오브제들은 서로 얽히고설켜 재구성과 변형이 가능한 유기적인 덩어리를 만들어냅니다. 뚫린 벽처럼 보이는 이 덩어리는 인권의 성장과 변화를 담아내며, 더 나아가 미래로 나아가는 도약을 상징합니다. 어둠 속에서 단단하게 자리 잡은 ‘인권의 벽’은 그 자체로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권준호, 박세희 촬영. 임민재 포트폴리오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후마니타스 “‘Don’t Politicize Human Rights!’ Of all the things people say about human rights, this is the one I detest the most.“ Everyday Practice designed the cover for the “Subversive Human Rights" series, published by Humanitas. Using a handcrafted approach, we aimed to visually capture how human rights are reshaped and redefined through historical struggles and conflicts. To convey the unruliness of human rights, we wove together sharp and threatening objects into a single mass—symbols of politics, conflict, and opposition tangled into an organic form that can be endlessly restructured and transformed. This mass, resembling a breached wall, represents the growth and evolution of human rights while also symbolizing a bold leap into the future. The “Wall of Human Rights,” firmly rooted in darkness, radiates a powerful and commanding presence.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oonho Kwon, Sehee Park Photography. Minjae Lim Portfolio Photography. JSK studio Client. 후마니타스 #일상의실천 #everydaypractice #표지디자인 #후마니타스 #후마니타스이론서시리즈 #불온한인권 #bookdesign #coverdesign #graphicdesign #editorialdesign
297
2
게시물 보기